정보화마을 서귀포 무릉도원마을

  • HOME
  • 마이인빌
  • 메일
  • 고객센터
  • 서브이미지

    - 관광지 :곶자왈숲길
    - 마을명 : 제주 서귀포 무릉도원마을
    - 유형 : 산/계곡/폭포/동굴


    소개

    제주의 동.서부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곶자왈은 '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엉클어져 수풀같이 어수선하게 된 곳'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제주에서의 곶자왈은 농업활동과, 어구 생산활동, 임업활동, 주거생활등 제주인의 생활 터전이다.
    곶자왈은 크고 작은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 우리들의 생명수인 지하수를 만들어 주는 장소이다.
    농업활동을 위한 곶자왈은 지질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경작할 수 있는 토양의 깊이가 얕고 비옥한 토지가 부족하며 강수량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편이지만 금방 빗물이 스며들어 버리는 토양이 대부분이다. 척박한 땅에서는 겉보리, 밭벼, 고구마, 대두 등의 작물을 재배하였다.
    어업 생활에 있어 곶자왈은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에는 선박은 필요였다. 해안주변의 곶자왈이나 하천유역의 숲은 매우중요한 목재 공급원으로 이용되었다.
    임업활동에서의 곶자왈숲은 상록활엽수가 자라 일상생활에서 요긴하게 쓰이는 목재들을 제공해주며, 낙엽성 참나무류가 풍부했던 곳은 버섯 생산을 위한 지목이 되어주기도 하였다.
    주거생활의 곶자왈은 제주인의 주거문화인 정낭과 정주석에서 시작하게 되면 돌담이 있는 올레를 거쳐 타지방도 다른 독특한 주거형태를 갖게 된다. 초가집의 건축에 목재를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제주인의 생활터전인 곶자왈 숲은 상록수들이 분포함으로써 한겨울에도 푸른 숲을 자랑하면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소비해주는 장소, 생태계의 허파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라산에서 중산간을 거쳐 해아선까지 분포함으로써 동식물들이 살아가는데 완충지대 역할을 해주고 있다.
    동식물들의 완충지대 역할을 하고 있는 곶자왈에는 제주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제주산 양치식물, 한국미기록종,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 환경부 희귀식물들이 자라고 있는 식물 다양성의 보고이다.
    이처럼 곶자왈은 산림자원으로 경제적 가치를 비롯해 동식물이 주요 서식지로 생태적 가치, 도민 삶과 역사가 살아 있는 문화적 가치, 뛰어난 경관을 자아내는 심미적 가치, 제주생명수를 만들어내는 지하수함양지로서의 가치등 무수한 가치를 갖는다.
    무릉리 곶자왈숲길은 2008년도 전국아름다운숲길 공존산을 수상하고, 제주 올레길중 아름다운 코스이다.

      

    오시는 길

    • 제주시 (40Km) : 제주시 제주국제공항 – 공합입구(우측 한림, 신제주방면) – 공항로 – 신제주입구(우측 한림방면) – 도령로 – 노형로 – 서부관광도로 – 무릉로터리 – 중산간도로(1136번) – 무릉도원마을
    • 서귀포 (28km) :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 – 일주도로(1132번지) – 도순교 – 창천교 – 무릉로터리 – 중산간도로(1132번) – 무릉도원마을

    약도